설레이는 이야기/성경상식,용어

[성경상식]전제(奠祭)

막대사탕45 2019. 4. 3. 22:20



[성경상식]전제(奠祭)

구약의 제사를 제물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면 번제,소제,전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번제(燔祭)는 짐승을 잡아 드리는 제사이고,
소제(素祭)는 곡식을 바치는 제사이며,
전제(奠祭)는 포도주나 독주를 희생 제물 위에 부어 드리는 제사입니다.
히브리어로 전제는 '네세크'인데,'붓다,따르다'는 뜻을 지닌 '사나크'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전제는 단독으로 드려질 수 없고 항상 다른 제사와 함께 드려졌습니다.


출29장40~41
한 어린양에 고운 밀가루 에바 십분 일과 찧은 기름 힌의 사분일을 더하고 또 전제로 포도주 힌의 사분 일을 더할지며

한 어린양은 저녁 때에 드리되 아침과 일반으로 소제와 전제를 그것과 함께 드려 향기로운 냄새가 되게 하여 여호와께 화제를 삼을지니


민15장5~10
번제나 다른 제사로 드리는 제물이 어린양이면 전제로 포도주 한 흰의 사분 일을 예비할 것이요

숫양이면 소제로 고운 가루 한 에바 십분지 이에 기름 한 흰의 삼분지 일을 섞어 예비하고
전제로 포도주 한 흰의 삼분지 일을 드려 여호와 앞에 향기롭게 할 것이요

번제로나 서원을 갚는 제로나 화목제로 수송아지를 예비하여 여호와께 드릴 때에는
소제로 고운 가루 한 에바 십분지 삼에 기름 반 흰을 섞어 그 수송아지와 함께 드리고

전제로 포도주 반 흰을 드려 여호와 앞에 향기로운 화제를 삼을지니라


민28장14절
전제는 수송아지 하나에 포도주 반 힌이요 숫양 하나에 삼분지 일 힌이요 어린양 하나에 사분지 일 힌이니....


이처럼 어린양,숫양,수송아지등 희생 제물에 따라 전제에 사용되는 포도주의 양도 달라졌습니다.
또한 전제는 '물 댈 관,제사 제' 자를 써서 관제(灌祭)라고도 합니다. 사도 바울은 천국 복음을 전파하는 삶을 마치고 순교할 시점이 다가왔음을 깨닫고 자신이 관제(전제)와 같이 벌써 부어졌다고 하였습니다.


딤후4장6절
관제와 같이 벌써 내가 부음이 되고 나의 떠날 기약이 가까웠도다


개역개정,딤후4장6절
전제와 같이 내가 벌써 부어지고 나의 떠날 시각이 가까웠도다


제사 방식은 구약에 많이 등장하는데 정확히 몰라서 구약을 읽다보면 이해하기도 어렵고 흥미도 사라져서 성경을 꾸준히 읽기가 어려웠다.

나만 그랬을지 모르지만...

성경상식을 통해서 성경을 읽는 사람들이 성경의 뜻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